요약글쓰기/요약글 29

<페미니즘의 도전> 요약

먼저, 필요를 느끼고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 텔레비전 화면 속이 아닌 가정과 직장에서, 길거리에서 일상으로 벌어지는 소통의 아쉬움, 이해되지 않음, 같이하지 못하는 단절의 느낌을 가진다면. 앎에 대해 서로 다름을 인식하고 삶에 대한 불일치를 느낀다면. 이런 필요를 느껴야 한다. '세상에 하나의 목소리만 있을 때는 다른 목소리는 물론이고, 그 한 가지 목소리마저도 알기 어렵다. 의미는 차이가 있을 때 발생하며, 인식은 경계를 만날 때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페미니즘은 날카로운 경계에 서는 것이다. '경계에 선다는 것은 혼란이 아니라 기존의 대립된 시각에서는 만날 수 없는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상상력과 가능성을 뜻한다.' 이런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 여성주의의 기초는 '젠더'에 대한 시각이다. 어느 ..

<파계> 요약

숨겨라! 백정은 남의 집 문지방 너머로 한 발자국도 들어가지 못한다. 백정 집안은 손님들에게 차를 대접하지 않는 것이 예의다. 백정이라는 이유로 아픈 몸을 이끌고 병원에서 쫓겨날 수 있고, 여인숙에서도 쫓겨 날 수 있다. 백정은 보통사람과 같은 묘지에 묻힐 권리가 없다. 백정은 사람이 아니다. 백정은 사족, 네 발 달린 짐승이다! 주인공 세가와 우시마쓰는 백정이다. 아버지는 세상에 나가 출세하려는 백정 자식의 비결-유일한 희망, 유일한 방법, 그것은 오직 자신의 신분을 감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숨기는 것은 죽고 사는 문제다. 젊은 우시마쓰는 사범대학을 나오고 유능한 교사로 인정받고 있기에 어떤 경우에도 이 소중한 훈계만은 깨뜨리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한다. 이노코 렌타로도 백정이다. 우시마쓰보다 이른 시기에..

<표현의 기술> 요약

매 순간 우리는 자신을 표현하며 살아가고 있다. 은 글쓰기로 자신을 표현하면서 살아갈 때 부딪치는 여러 문제에 대한 두서없는 이야기다. 독자들이 경우에 따라 참고할 수 있겠다 싶은 이야기를 몇 가지 담았다. 왜 쓰는가? 조지 오웰은 글 쓰는 이유를 네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자기 자신을 돋보이게 하려는 욕망 둘째, 의미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학적 열정' 셋째, 역사에 무엇을 남기려는 충동 넷째, 정치적인 목적 누구나 자기의 글 쓰는 이유를 찾아야 한다. 글쓴이는 정치적-여기서 '정치'는 넓은 뜻이다. 세상을 더 좋게 바꾸는 문제에 대해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이다-인 글쓰기를 하는데 정치적 글쓰기의 목적은 언제나 '여론 형성'이다. 여론 형성을 목적으로 한 글쓰기는 예술과 직접 관련이 없는 의사소통 ..

<우리글 바로쓰기1> 요약

지난 천년 동안 우리 겨레는 끊임없이 남의 나라 말과 글에 우리 말글을 빼앗기며 살아왔고, 지금은 온통 남의 말글의 홍수 속에 떠밀려가고 있는 판이 되었다. 이오덕은 말이 아주 변질되면 영원히 돌이킬 수 없다고, 한번 잘못 병들어 굳어진 말은 정치로도 바로잡지 못하고 혁명도 할 수 없다고, 그것으로 끝이다고 말한다. 이래서 오늘날 우리가 그 어떤 일보다도 먼저 해야 할 일이 외국말과 외국말법에서 벗어나 우리말을 살리는 일이다. 밖에서 들어온 불순한 말을 먼저 글 속에서 가려내어 깨끗이 하는 일부터 해야 한다. 밖에서 들어온 잡스런 말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니, 첫째는 중국글자말이요, 둘째는 일본말이요, 셋째는 서양말이다. 우리가 몰아내어야 할 중국글자말은 우리 글자로 썼을 때나 입으로 말했을 때 그 ..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요약

자기를 표현하는 행위는 인간의 본능이다. '글쓰기'는 자신을 표현하는 행위다. 자신의 내면에 있는 감정이나 생각을, 욕망과 충동을, 기대와 소망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표현해서 타인과 교감하고 그를 통해 기쁨과 성취감을 느낀다. 우리는 자신을 표현하는 행위로 인생을 채운다. 은 논리적 글쓰기 일반론에 대한 글이다. 어떻게 해야 논리적인 글을 쓰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지 이야기한다. 작가는 먼저 논증의 아름다움을 구현하기 위한 세 가지 규칙을 소개한다. '취향고백과 주장을 구별한다', '주장은 반드시 논증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주제에 집중한다'. 이 세 가지 규칙을 잘 따르기만 해도 어느 정도 수준 높은 글을 쓸 수 있다. 재능의 영향을 많이 받는 문학글쓰기는 아무나 할 수 없다. 하지만, 논리글쓰기는..